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타이완 성도 제9호선

덤프버전 :

{{{#ffffff {{{+2 파일:nati_em_taiwan_mini_white.png 타이완의 성도(省道) }}}}}}
일반도로
환도공로횡관공로
1호선9호선7호선8호선20호선
종관공로
3호선13호선19호선21호선29호선
빈해공로
2호선11호선15호선17호선26호선
연결공로
3호선5호선6호선10호선12호선
14호선16호선18호선21호선22호선
23호선24호선25호선27호선28호선
30호선31호선37호선39호선63호선
쾌속공로
61호선62호선64호선65호선66호선
68호선72호선74호선76호선78호선
82호선84호선86호선88호선


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線/台9線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800px-TW_PHW9_maps.svg.png
주선 길이476.072 km
지선 길이46.409 km
속도 제한30~70 km/h
기점타이베이 시 중정구 스트리트 뷰
종점핑둥 현 팡상향 스트리트 뷰

1. 개요
2. 지선
3. 여담


1. 개요[편집]


타이완 성도의 노선 중 하나이며 성도 1호선과 함께 대만을 일주하는 환도공로를 구성한다. 기점은 둘 다 타이베이 행정원 앞 사거리로 도로원표가 있는 곳 이며 종점에서 성도 1호선 및 성도 26호선과 교차한다.

신베이 신뎬에서 이란 짜오시 구간과 이란 쑤아오에서 화롄 신청까지 구간이 험난하기로 유명했다. 구간이 짧은 것도 아니라 서울부터 강릉까지 가는데 대관령고갯길만 지나간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였다. 때문에 타이베이-화롄간 교통은 항공편과 열차편에만 의존했다. 신베이-이란 구간은 2006년 장웨이수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나아졌고 쑤아오-화롄 구간은 2018년 확장 구간의 부분 개통과 2020년 추가 확장개통으로 해소되었다. 중간중간 아직 확장되지 않은 구간이 있는데 잔여구간 25km의 확장 개통은 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다. 쑤화공로로 악명 높았던 이 구간은 台9丁 지선으로 2018년 재지정되었다. 과거라면 도로를 이용해 타이베이와 화롄을 오가는건 엄두도 못냈는데 새로 개통된 고속버스가 화롄시내에서 타이베이 외곽까지 3시간이면 도착한다.


2. 지선[편집]


  • 갑선(甲線)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甲線/台9甲線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100px-TW_PHW9a.svg.png
지선 길이19.833 km
타이베이(신베이)~이란현 간 구간에서 이란선과 함께 협곡따라 가는 것을, 산맥에 터널 뚫고 우회한 구간이다.
  • 을선(乙線)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乙線/台9乙線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100px-TW_PHW9b.svg.png
지선 길이3.781 km
타이둥 부근 고갯길이 크게 돌아가는 구간을 직선화한 곳이다. 이 문서 상단 지도에서도 잘 안 보인다
  • 병선(丙線)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丙線/台9丙線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100px-TW_PHW9c.svg.png
지선 길이22.745 km
화롄 남쪽의 구배(경사)를 S자로 돌아서 넘는 옛 구간을 직선화하면서, 구 본선이 지선으로 격하된 구간이다.[1]

  • 정선(丁線)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丁線/台9丁線
지선 길이69.074 km
이란현 쑤야오 ~ 화롄현 신청향 사이의 그 악명높던 해안절벽 구간으로, 터널과 교량으로 시원하게 직선화하면서 구 본선이 지선으로 격하된 구간이다.
  • 무선(戊線)
타이완 성도 제9호선
臺9戊線/台9戊線
지선 길이16.151 km


3. 여담[편집]


  • 9호선이 시작하는 기점에서 남쪽으로 200m 정도 내려간 사거리 오른쪽에 큰 건물을 볼 수 있는데, 바로 국립대만대학 병원 내에 있는 어린이 병원으로, 디모의 소녀가 입원해 있었던 곳이다. 출처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2 00:33:37에 나무위키 타이완 성도 제9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한국은 이런 경우 보통 구도로를 한 단계 낮게 격하시키는데(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이나 남해고속도로 하동~사천 사이 금오산 구간 등) 대만은 그냥 주간선의 지선으로 편입시키는 경우가 많다.